現 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박사과정
해금연구회 회원
조윤경

해금은 중앙아시아 계통의 악기로써, 서기 1214년 고려 예종 때 중국 송나라를 거쳐 우리나라에 전래된 악기이다. 우리나라 악기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악기로 궁중음악의 장엄한 의식에서부터 서민들의 흥겨운 마당놀이에 이르기까지 많은 음악에 쓰이고 있다. 해금은 조선 성종 때의 ‘악학궤범’에서는 당악기로 분류되었으나 이보다 앞선 ‘고려사’에서는 향악기로 분류되었다. 또한 고려가요인 ‘한림별곡’이나 ‘청산별곡’의 노랫말에 그 이름이 보이고 있어 고려시대부터 중요한 악기로 쓰여 온 악기이다. 아쟁과 더불어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찰현 악기에 속하며 말총으로 만든 활을 사용하는 점에서는 국악기 가운데 유일한 악기이다. 동양문화권의 현악기 대부분이 줄을 뜯어 연주하기 때문에 소리의 지속성이 어려운데 비하여 해금은 그 소리를 길게 끌어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관악기와 같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또 호흡의 한계성을 지니고 있는 관악기의 숨 쉬는 부분의 음향적 공백을 메워 줄 수 있는 역할을 하며 관악합주에 반드시 편성되는 악기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통음악에서 해금을 관악기로 분류한다.

공명통이 작아 코막힌 듯한 음색으로 인하여 “깡깡이” 또는 “깡깽이”라고도 불리며 휴대하기에 간편하여 유랑 연주자들이 애용하기도 하였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앵금이”라고도 불려졌다.

악기분류법 중 제작재료에 의한 분류법을 8음(八音)에 따른 분류라고 하는데 ‘8음’이란 쇠[金]·돌[石]·명주실[絲]·대나무[竹]·바가지[匏]·흙[土]·가죽[革]·나무[木]의 8가지 중요한 재료를 말한다.

다른 악기들은 보통 대나무면 대나무, 쇠붙이면 쇠붙이, 나무면 나무 이렇게 한두 가지 재료가 덧붙는 것이 고작이겠으나 해금은 8음의 악기 재료를 모두 쓰고 있는 유일한 악기이다.

해금에 쓰여지는 8음을 살펴보면 금(金)은 입죽을 고정시키는 쇠기둥이고 석(石)은 통의 내부에 칠하는 페인트로 돌가루를 섞어 칠한다. 사(絲)는 명주실을 꼬아 만든 두 줄을 말하며 죽(竹)은 대나무 통과 입죽이며 포(胞)는 두 줄을 고이는 원산을 말하고 토(土)는 활의 말총에 칠하는 송진을 가리키며 혁(革)은 말총을 고정시키는 가죽이고 목(木)은 줄을 감아주는 주아이다.

악기를 만드는 재료를 살펴보면 해금의 몸체에서 중요한 부분인 통은 화리나 산유자 나무로 만들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나무 뿌리를 10cm 정도의 길이로 잘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굵은 대나무 뿌리를 잘라 모양을 다듬고 그 한쪽에 얇게 깍은 오동나무로 울림판(복판)을 만들어 붙인다. 대나무 뿌리의 몸통에 검은색의 대나무를 세우고 그 속에 쇠기둥을 박아 몸통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을 입죽이라 하며 그 길이는 70cm 정도이고 위로 올라 갈수록 약간 구부러진 모양을 취하고 있다. 입죽의 윗부분에는 줄을 감아 고정시키는 두 개의 주아를 꼿는데 주아는 나무로 만든다. 또한 명주실을 꼬아 만든 두 가닥의 해금 줄이 있는데 두 줄 중 안쪽 줄이 중현, 바깥쪽 줄이 유현이다. 이것을 주아에 감아 놓고 그 한쪽 끝은 공명통의 아래에 고정시킨 다음 공명통의 중심부에 원산이라 불리는 줄 버팀목을 세워 줄을 올려놓는다. 원산은 바가지를 깎아 만드는데 원산의 위치에 따라 악기의 음량에 변화가 있다.

따라서 실내악과 같이 작은 음량이 필요한 경우는 원산을 복판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놓고 합주곡에서와 같이 큰 음량이 필요한 경우는 원산을 복판의 중앙 즈음에 세운다. 해금의 활은 여러 가닥의 말총을 해죽이나 오죽에 묶은 다음 말총에는 송진을 고루 발라 사용한다. 서양 현악기의 활은 말총의 한 면만 줄에 닿게 되어 있으나 해금은 두 줄 사이로 말총을 넣어 활의 앞뒷면을 모두 사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해금의 연주자세를 보면 먼저 공명통이 왼편 무릎부분에 닿도록 바로 세우고 왼손을 입죽에 대고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을 줄에서 짚고 누르며 연주한다. 왼손의 식지만으로 줄을 감아쥐었을 때가 기본위치가 되는데 이때 두 줄의 음높이는 완전4도의 차이가 난다. 즉 연주자의 안쪽에 있는 중현보다 바깥쪽에 있는 유현이 4도 높게 조율된다. 그리고 장지, 명지, 소지의 순으로 손가락을 짚어 내려감에 따라 음이 높아지는데 보통 한손가락을 짚을 때마다 한음 정도씩 높아지며 한음 이상 높여야 할 때는 줄을 당겨서 짚으면 된다. 또한 음역의 변화에 따라 왼손 식지를 올려놓는 위치가 바뀌는데 내려 잡으면 음이 높아지고 올려 잡으면 음이 낮아진다. 이와 같은 해금의 운지법은 거문고의 운지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오른손의 연주법은 오른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말총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활의 한쪽 끝을 버텨 쥐고 말총이 줄에 닿도록 힘을 가하여 밀거나 당겨 소리를 낸다. 이때 말총이 줄에 닿는 힘이나 활이 움직이는 속도에 따라 소리의 강약이 정해지므로 해금을 익숙하게 연주하기에는 많은 훈련이 필요하다.

옛 부터 문묘제례악을 제외한 국악의 모든 분야에 빠지지 않고 편성되어 온 해금은 현재 궁중음악, 제례악, 민속음악, 창작음악 등 두루 편성되어 사용된다. 특히 창작음악에서의 해금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악기로 대중들과 소통이 원할 한 전통악기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