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연내에 ‘중장기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R&D 체계’를 수립해 ‘포스트 IPTV·와이브로’ 사업 모델을 발굴한다.

방통위가 R&D 체계 수립을 공식 추진하는 것은 처음으로, 국가 R&D사업을 총괄하는 지식경제부와의 역할 정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방통위 고위 관계자는 “정보통신부 해체 이후 기술혁신에 기초한 미래 서비스의 큰 그림이 사라졌다”며 “방통위는 확대 개편될 예정인 방송통신발전기금과 현행 정보통신진흥기금을 적절히 활용해 ‘기술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방통위는 올해 안에 ICT R&D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조만간 산학연 전문가와 함께 추진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아직 확정하지 않았으나 조만간 선발할 예정인 프로젝트매니저(PM)와 기술자문위원회가 추진단의 주축이 될 전망이다.

방통위가 ICT R&D 체계 수립에 나선 것은 △정통부 해체 이후 ‘차세대 ICT 서비스’에 대한 정책이 전혀 발굴되지 못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와 △2011년 확대 개편되는 ‘방송통신발전기금’의 선순환적인 체계적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방통위는 방송통신발전기금은 방송통신 사업자들의 기여로 조성되는만큼, 선순환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업자들에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는 시각이다.

이 때문에 방통위의 ICT R&D 추진 체계는 △5년 이상 미래 기술(서비스)에 대한 계획 △제조업 중심인 지경부 R&D와 차별화되는 차세대 서비스 모델 중심 R&D △기업보다 대학·국내외 연구소 등 중심 △바텀업 방식의 R&D 정책 수립 등이 특징이 될 전망이다.

이병기 방통위 상임위원은 “방송통신 융합 시대에 부합하는 ICT 생태계를 새롭게 조성해 그 기반 위에 새로운 ICT를 개발하고, 이를 새로운 방송통신 서비스 및 제조업 등에 전수해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ICT 생태계는 방송통신사업자·ICT 제조업자 및 기술 개발자, 방송통신 콘텐츠 제작자, 서비스 이용자가 구성요소로 방통위는 지휘자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