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덕 논설위원

부산시교육청이 ‘2016~2018년 특성화고 중기발전계획’을 수립했다. 취업 지원 체제 강화를 위한 선취업· 후진학 체제를 만들어 목표취업률을 2018년까지 평균 60% 이상으로 설정했다. 지역 산업과 인력 수요에 맞춰 특성화고 체제를 개편한다. 공공기관 입사시험용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준비에 지원을 늘릴 계획이며 특성화고 학생을 위한 해외 연수 기회도 확대한다. 부산시교육청의 발전계획이 산업수요에 맞는 인력을 양성해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지역 내 특성화고의 취업률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특성화고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먼저 선입견을 바꾸는 것이 절실하다. 중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해야 한다. 학교에 대한 끊임없는 홍보와 재평가 작업을 통해 ‘기술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기관’이라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특성화고를 독일이나 스위스의 마이스터고처럼 우수학생이 지원하고 싶도록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졸 취업의 확대는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고졸 인력이 대학 진학 여부를 떠나 취업을 못하고 방황하는 것은 엄청난 사회적 손실이다. 특성화고 졸업자 채용 확대를 위해 정부, 기업 등이 나서야 한다. 정부와 기업이 협약을 맺어 기능대회 입상자를 우선 채용하는 등의 방안 마련을 해야 한다. 반짝 이벤트에 그치거나 채용인원을 축소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취업률을 높임으로써 특성화고 활성화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학교에서도 철저한 교육을 통해 사회진출에 손색이 없는 인재 양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인력수요에 맞게끔 체제 개편을 해야 한다. 신입생의 입학정원을 수요에 맞게 조정함이 필요하다. 학교의 지원정책도 현실성 있게 뒷받침돼야 한다. 학교에 투입된 취업지원관을 잘 활용해 질적으로 향상된 네트워크 구축을 해야 한다.

NCS 준비를 위한 철저한 지원이 요구된다. NCS 표준에 맞는 직업교육과정 컨설팅조직을 운영하고 실험·실습 시설 확충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와 기업은 고졸과 대졸의 임금격차·인사에 있어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고졸 취업자들이 맡은 분야에서 보람을 느끼며 일해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정부와 기업이 특성화고를 적극 지원함과 동시에 사회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특성화고도 스스로 쇄신의 노력을 통해 전문기술인이 대접 받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