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준 경제산업팀 기자

“국가기간시설인 부산항은 수출입 화주와 여객 중심의 시설이기에 사용범위가 굉장히 제한적이다.”
 
한진해운 사태와 국내 조선업 구조조정 등 해운·조선 분야의 위기에 직격탄을 맞고 있는 부산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민관 상황대책반 5차 회의’에서 부산항 내 대형선박수리조선소 입지와 관련한 부산항만공사 관계자의 발언이다.
 
이날 길지 않은 이 말속에서 부산항만공사의 부산항 운영과 관련한 극히 보수적인 입장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이날 회의의 주 내용은 지역경제에 경제적 파급력이 큰 대형선박수리조선소 조성 입지를 부산항 부두에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였다.
 
지역 선박수리업계는 국내 한곳에 불과한 3만톤급 이상 대형선박을 수리할 수 있는 수리조선소를 항만 관련 각종 인프라를 잘 갖추고 있는 부산항에 꼭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감만부두와 같은 북항 내 일부 부두에 조성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인 부산항만공사에 다시 한번 요청했다.
 
대형선박수리산업은 고용효과가 높고 조선기자재, 선용품, 선박급유업 등 항만 관련 산업 뿐만 아니라 해운산업, 수산업, 기계, 철강 등 전후방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점에서 침체된 지역경제를 일으킬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역 선박수리업계 뿐만 아니라 조선기자재. 선용품 등 지역 항만관련 다양한 업계에서도 대형선박수리조선소의 지역내 조성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조선기자재산업 사업다각화 포럼’에서 지역 조선기자재업체인 선보공업 연구소 이사는 “조선업 위기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조선기자재 업계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대형선박수리조선소의 조성이 반드시 선행되어져야 한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대형선박수리조선소가 부산항에 들어서면 선박수리를 하러 온 배가 조선기자재와 선용품 구입 등 타 산업의 부가가치 창출도 함께 일으킨다는 이유에서다.

대형선박수리조선소 조성은 부산항이 현재와 같은 단순한 물동량 중심의 항만에서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적극 고려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충분하다.
 
시대가 변한 만큼 컨테이너 화물 취급과 여객 수송이라는 소극적 기능의 오래된 부산항의 보수적 운영도 바뀌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작금의 해양수도 부산의 해양산업 위기의 상황에서 진보적인 부산항 운영이 이제는 모색되어져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해수부 및 부산항만공사 등 관계기관의 인식 전환이 첫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는 부산항 관련 관계기관이 오래되고 낡은 인식을 벗어던지고 지역사회와 업계 그리고 부산시민이 원하는 부산항 만들기를 위해 새로운 도전을 과감히 시도해야 한다. 이를 통해 부산항이 단지 컨테이너 화물만 취급하는 낡고 오래된 브랜드의 항만이 아니라 많은 선박이 오가고 항만관련 산업이 활기를 띄는 액티브하고 능동적인 항만으로 거듭나길 절실히 바래본다.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