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가 맞습니까.” “아뇨, A과에 문의하세요.”

“여기가 맞습니까.” “아뇨, B과에 문의하세요.”

“여기가 맞습니까.” “아뇨, C과에 문의하세요.” (중간생략) “여기가 맞습니까.” “아뇨, A과에 문의해보세요.”

며칠 전 지식경제부에 데이터센터 담당과를 찾기 위해 길을 물었다. 한참을 돌고 돌아 결국 제자리로 돌아왔다. 전화라는 편리한 수단이 있었기에 망정이지 자칫 지경부 경내를 한바퀴 돌 뻔했다.

잇따른 데이터센터 신축에 힘입어 지난 90년대 말 닷컴 열풍 이후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고, 내년이면 첫 상용 IDC가 들어선 지 10년째에 접어드는 국내 데이터센터산업의 현주소다.

데이터센터는 넘쳐나지만 사실 우리나라에서 데이터센터로 가는 길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딱히 별도 산업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때로는 부가통신사업으로, 때로는 정보통신시설임대사업으로 규정지어진다.

당연히 정부에서 담당자를 찾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통신회선·전력·IT서비스 등 이슈마다 매번 문의하는 곳이 다르다”는 데이터센터 관계자의 불평은 괜한 엄살이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서 ‘데이터센터에 산업용 전력요금을 적용해야 한다’ ‘데이터센터 시설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잣대가 필요하다’ 등의 주장은 배부른 소리로 들린다.

얼마 전 일본 도쿄에서 만난 후지쯔 본사 관계자는 일본 데이터센터가 산업용 요금을 적용받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어색한 표정을 지었다. 당연한 질문을 왜 하느냐는 뜻이다.

업계 주장대로 데이터센터 전기요금을 낮추고, 안 낮추고가 중요한 게 아니다. 데이터센터를 수많은 기업의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핵심 IT인프라로 보는지, 임대 목적의 부동산시설로 보는지가 문제다. 아쉽게도 국내 데이터센터는 아직 서버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임대시설에 머물러 있다.

이호준기자 newlevel@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