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우리나라가 에너지수입에 사용한 비용은 원유구입에 사용된 600억 달러와 LNG 127억 달러 등 총 950억 달러다. 그런데 올 9월 말까지 이미 1126억 달러를 넘어섰다. 700억 달러가 넘는 돈이 원유에 사용이 됐으며 올해 총 에너지수입 비용이 1300억 달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 구조가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일러주는 단적인 예다.

우리나라는 그간 이런 에너지 수급 체계를 개선하고 전 세계 기후변화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UN 주도의 도쿄의정서 체제와 미국이 중심이 되는 APP 모임 모두에서 나름대로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 왔다. 어떤 형태로든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우리나라에 유리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최근 미국이 부시 행정부 이후엔 UN의 활동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며 지난 7월 주요국 회의에서도 미국은 기후변화에 대한 UN의 움직임에 협조하겠다고 천명하는 등 UN이 추구해온, 즉 감축 의무량을 산정하고 그것을 지키도록 요구받는 모델이 우리나라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제 주목해야 할 것은 우리에게 향후 어떤 의무가 주어질 것인가 하는 문제다. 실제로 이미 국제사회는 우리나라에 의무량을 할당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다고 할 수 없다. 1995년 2억9700만톤이었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05년 5억9100만톤으로 늘었다. 현재 예상대로라면 2015년엔 2005년보다 배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다른 나라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겠다고 하는 상황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관심을 갖지 않으면 줄이기는커녕 온실가스 배출이 더욱 늘어날 상황인 것이다.

이런 총체적인 상황에 대응하려는 게 바로 최근 정부가 주창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다. 즉, 화석연료의 사용을 가급적 줄이고 같은 에너지원이라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자는 것이고 이를 좀 더 구체화 한 것이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이다.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해 현재 0.345인 에너지원단위를 2030년까지 0.18정도로 낮추고 현재 2억2400만TOE로 이대로 두면 2030년에 5억 TOE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연간 에너지 사용량을 2030년에 3억 TOE 가량으로 낮추는 게 목표다.

쉽지는 않은 일이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다. 이런 일을 추진하는 과정에 우리가 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이 있을 것이고 그게 바로 그린에너지 산업이라고 본다.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새로운 산업군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정리=최순욱기자 choisw@etnews.co.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