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신문 보니까 연봉도 많이 받으시던데, 뭘 이 정도 비용 갖고 그러세요?” 최근 우리 원에서 주최하는 세미나 때문에 행사 촬영을 의뢰했던 업체에 견적 금액 조정을 요구하자 돌아온 답변이다. 연봉 수준과 업무 진행에 필요한 비용이 무슨 관계가 있겠냐만은 최근 언론보도가 어떠했는지를 알기에 쓴웃음을 짓고 말았다. 때만 되면 실리는 기사가 있다. 바로 각 공공기관의 평균 연봉 순위 기사다. 특히 최근 들어선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 덕분에 공공기관의 각종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한층 개선돼 더욱 자주 거론되는 것 같다. 하지만 이 수치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도 될까. 보도에는 평균 연봉액으로 발표됐지만 기실 여기에는 일반기업과 달리 산정방법상의 차이로 인해 연봉이 아닌 다른 금액까지 포괄적으로 집계되는 경우가 많다. 개발 기술을 업체에 이전시키고 발생한 기술료처럼 극히 일부 연구자에게 지급되는 연구장려금이 대표적이다. 이런 계산대로라면 하나의 특허에서 만약 많은 금액의 기술료가 발생할 경우 연구기관의 평균 연봉은 현격히 높아질 수밖에 없다. 또 국가연구개발규정상 연구수행에 필요한 직접비 항목으로 인정하는 연구활동진흥비나 전체 직원의 7%(올해 전기연구원 기준)에 불과한 보직자가 부서 회식비, 신문구독료 등으로 활용하는 직책판공비 등도 함께 집계된다. 이러한 비용을 제외하면 평균연봉은 발표된 것에 비해 1300만원 이상 줄어든다. 무엇보다 구성원들의 경력 자체가 일반기업 구성원들과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우리 연구원만 해도 연구 인력 대부분이 박사급이다. 최소 10년에서 20년 이상의 연구경력과 학위를 갖춘 각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들이다. 신규 입사자도 해외 유학파를 비롯해 바로 현업에서 큰 연구성과를 바로 거둘 수 있는 경력을 갖고 있다. 자연히 일반 기업 및 기관과 연봉수준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한쪽에선 ‘이공계 기피 현상 심각’ ‘경력 대비 낮은 연봉으로 우수 연구인력 확보 비상’ 등을 주장하며 과학기술계 발전 대책을 부르짖고, 한쪽에선 매번 ‘억 소리 나는 고액 연봉’ 주장으로 연구인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기이한 현상에 안타까움을 감출 수 없다.

류동수 한국전기연구원 홍보실 팀장 bagdad73@keri.re.kr

저작권자 © NB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