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부산시 산하기관인 부산관광공사가 철도공단의 민간 제안 공모에 참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동해남부선 활용 문제와 관련 어정쩡한 태도를 보여온 부산시를 향한 시민의 비난이 빗발쳤다.
 

동해남부선 폐선부지를 시민휴식 또는 편의공간 역할을 할 ‘친환경 그린웨이’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부산시의 당초 기본입장이고 지금도 변함없는 입장인데 시 산하기관이 그에 반하는 레일바이크 등 상업시설로의 개발에 뛰어든 것이다.
 

부산시는 부산관광공사의 돌출제안 논란에서 발을 빼려 하지만 그동안의 부산시의 어정쩡한 행보도 폐선부지 갈등과 논란의 무거운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부산시는 또 지난해 11월 철도공단과 ‘동해남부선 철도 자산의 효율적인 활용과 관리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은 철도공단에서 개발사업을 시행할 때 부산시가 인허가에 협조하고 부산시가 폐선부지와 고가하부 철도부지에 공익사업을 시행할 때 공단이 국유철도부지 활용에 협조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부산시의 친환경 그린웨이 구상과 공단의 레일바이크 등 상업적 개발에 두 기관은 개발방향에 대해서는 한마디 언급 없이 폐선부지 등의 활용을 위해 상호 협조한다는 협약을 체결했다.
 

당시 협약과 관련 미포∼송정구간에 대한 개발은 공단이 하고 그 외 관광자원으로 사용가치가 없는 고가화 하부 폐선 구간은 부산시가 원래 취지대로 그린웨이로 개발하는 ‘이면합의’가 있지 않나 하는 의혹이 일기도 했다.
 

광역철도사업이었던 동해남부선 복선화 사업이 전액 국비로 건설되는 일반철도사업으로 전환되기 전까지 1천600억원 가량의 거액를 투자했던 부산시가 시민 입장에 서지 못하고 공단에 끌려 다닌 모양새다.
 

또 철도공단이 개발방안과 관련해 어떤 결론을 내리던 추후 주민설명회 등의 과정에서 여론의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동해남부선 폐선 활용 네트워크 등 부산 시민사회단체는 “철도공단은 물론 부산시가 시민에게 골고루 혜택이 돌아갈 수 방안을 찾는 게 가장 현명한 대안”이라며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할 지역 언론들이 사업화에 뛰어들어 의혹이 더 커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상연 기자 lsy@busaneconomy.com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