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선박금융 등 해운정책 마련
30대 해운기업 중 부산 단 1곳
항만 위주의 정책 탈피 필요해

   
시가 2020년까지 부산을 해운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최근 해운정책 5대 비전을 마련하며 해운업 살리기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있다. 사진은 2008년 12월 세계 2위 선사인 스위스 MSC의 1만1700TEU급 프란체스카호 모습.

시가 열악한 해운업 살리기에 시동을 걸었다.

17일 시에 따르면 2020년까지 부산의 해운업 육성을 위한 ‘2020 부산해운중심도시 VISION’을 정하고 세부방안을 마련중에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해운금융중심지 ▲해운정보중심도시 ▲해운전문인력 양성메카 ▲선박관리 중심도시 ▲해사산업 중심지 육성을 위한 5가지 해운정책 비전이 포함됐다.

‘해운금융중심지’ 비전에는 선사의 선박금융 이용 지원 및 부산형 선박금융상품 개발을 목표로 내년 1월 시는 한국선주협회와 MOU체결해 선박금융상품 공동개발을 추진하고 같은해 3월에는 선박금융 전담지원조직 신설 및 운용으로 선사의 금용 편의성을 지원하는 등 선사에 대한 선박금융 우대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해운정보중심도시’ 비전으로는 2016년 한국형 해운거래소 설립으로 해운기업의 시장대응력을 제고키로 했다. 정확한 시황정보와 예측기능 확보로 해운기업의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운임지수기반의 해운파생상품 시장 개설로 해운서비스산업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다.

‘해운전문인력 양성메카’ 비전에는 해운·해양플랜트 전문인력 양성의 메카를 조성한다는 목표아래 인력양성 지원규모를 2020년까지 1,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세계 1위 선박관리전문기업으로 1,100척의 선박을 관리하고 있는 모나코의 쉽(Ship)사와 같은 글로벌 선박관리기업 육성을 위해 외국적 선박 유치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선진 선박관리기법 및 공용 프로그램 등 도입지원, 선박관리 종합서비스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7위에 머물고 있는 한국선급을 세계 5위 선급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해외선사 및 조선사에 대한 시와 한국선급의 공동마케팅, 한국선급의 검사선박 확대 추진, 기자재기업·선급·조선사 네트워크 확대를 꾀한다.

이를 통해 한국선급의 선박등록톤수를 2020년까지 100만톤(올해 63백만톤)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부산시가 부산 해운업 살리기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시의 향후 해운정책 비전에 대해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내기도 한다.

지난 13일 열린 제14차 부산항경쟁력촉진협의회에서 이승규 부산항발전협의회 대표는 “부산시는 지금까지 해운업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은 가지고 있었지만 실질적인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시정이 바뀔때마다 해운정책의 마스터플랜과 방향이 바뀌고 있다”고 일침했다. 이어서 “일관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부산은 세계 5위 항만으로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약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에 본사를 둔 해운선사는 전체의 약 27%에 불과하며 물동량 대비 기업 집적도가 낮고 대부분 영세하다.

전국 해운선사의 평균 매출액은 업체당 약 400억원(2013년) 수준이지만 부산 해운선사의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06억원으로 전국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더욱이 부산 해운선사 중 경영실적이 지난해보다 나아진 기업은 단 17.4%에 불과하며 시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경영 전망에서 응답자의 81%가 현재보다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장에서도 볼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국 30대 해운선사에 해당하는 부산 소재 해운기업 A사 관계자는 “다양한 화주가 부족해 영업이 곤란하며 부산에서 해운 관련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기 힘들다”며 “기획, 선박금융 등 핵심기능은 서울에 둘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의 해운업이 부진한 원인에는 우선 국가·지방자치단체의 항만 위주 정책 집중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와 시가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순위 5위 유지에만 정책 역량을 집중한 나머지 해운·선용품 등 부가가치 창출순위는 현재 10위에 머무르고 있다.

또 신항 건설에 16조 8000억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를 쏟아부으면서도 해운보증기구 규모는 당초 2조원에서 5,500억원 삭감시켰고 내년 예산도 300억원만 배정했다.

그동안 시의 해운산업 육성정책의 의지 부족은 통계로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시 전체 예산 중 해양예산은 7조 7000억원으로 약 0.9%에 머물렀다. 올해 책정된 경남도 해양예산(1,153억원, 1.75%)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특히 시가 추진하는 해양수산 110개 정책과제 중 해운·항만분야의 경우 12개(11%)에 그쳤고 전체 시비투자액 4,500억원 중 90억원(2%)에 불과했다.

싱가포르의 해운산업 육성 사례를 비춰보면 세계 최고의 해운·항만물류 중심지 육성을 목표로 2000년대 초 ‘Singapore Maritime Cluster’ 사업을 추진, 정부 주도의 해사산업 중심도시 조성에 나섰다

클러스터 조성으로 싱가포르 내 해운·물류기업 약 5,000여개 사가 참여해 국제해사센터 중심의 ‘해사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추진 및 외국기업 유치 등으로 현재 해사 관련 4,200개 외국기업이 활동하고 있으며 26,000개의 지사가 운영되고 있다.

또 해운기업을 비롯해 항만물류산업, 해사서비스산업, 오프쇼어 및 해양산업 등에서 17만명이 고용됐고 GDP의 7%(180억 달러)가 창출되고 있다.

김형준 기자 samic8315@busaneconomy.com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