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김태룡
  지식사회팀 기자

부산시교육청이 17일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인 ‘장대현학교’를 위탁교육기관으로 인가했다. 대안학교를 인정하지 않는 그간의 교육정책을 고려했을 때 이번 조치는 혁신적이다. 김석준 교육감의 진보적 성향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된다.

중학교 과정 3학급으로 15명의 학생들을 교육하는 이 학교는 내년 3월부터 학력인정과 교육비 등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기자는 지난 7월 ‘장대현학교’의 특수성과 교육과정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학교관계자에게 취재를 요청한 바 있다. 당시 관계자는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해 언론에 노출시키는 것은 조심스럽다”며 정중히 거절했으며 특수성 때문에 시작한 취재계획은 그 특수성 때문에 무산됐다.

이후 3~4곳의 다른 학교를 취재한 결과 대안학교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었다. 대안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대부분 교육부의 정규 교육과정과 맞지 않거나 적응을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다.

주입식 교육과정을 못 견뎌하는 학생도 있고 집단 따돌림이나 성폭행을 당해 학교에 나갈 수 없는 학생도 있다. 대안학교는 공교육의 프레임 바깥에서 청소년들의 자아형성과 진로탐색을 도와주는 유일한 장소다. 대안학교의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학생들이 원하는 것이 있거나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이에 발맞춰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원을 해 줄 뿐이라는 것이다. 강사들은 학생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기다려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좋은 교육이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주는 것”이라는 교육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교육부에서는 대안학교의 특수성을 개별성으로 대하고 있다. 현 교육제도의 그림자 속에서 2~3년 방황의 시기를 겪은 학생들은 눈 깜짝 할 사이 성인이 된다. 학력인정을 받지 못한 어른아이는 대학 진학에 어려움을 겪고 이는 취업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유일한 선택지는 검정고시를 통한 대학진학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다. 암담한 교육현실의 대안으로 혁신학교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지만 깊은 성찰 없이는 명칭만 바뀌는 데 그칠 가능성이 높다. 내년에는 부산서 첫 예술대안학교인 ‘창작예술학교’가 문을 열 예정이며 이밖에 많은 대안학교가 공교육의 부족함을 대신해 힘쓰고 있다.

모든 정책은 소수보다 다수를 위한 것이지만 교육에 있어서만큼은 한명의 학생이라도 흔들리지 않게 노력을 해야 한다. 최근 수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이 대입설명회를 전전한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한 자문을 하게 된다.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